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順天 松廣寺 塑造四天王像)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상입니다. 2006년 4월 28일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146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송광사 천왕문의 좌우에 2구씩, 총 4구가 안치되어 있으며, 흙으로 만들어진 소조상입니다. 사천왕상의 배열은 천왕문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비파를 든 북방 다문천왕과 칼을 든 동방 지국천왕이, 왼쪽에 당(幢)을 든 서방 광목천왕과 용·여의주를 든 남방 증장천왕이 시계 방향(북→동→남→서) 순서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네 천왕상은 모두 의자에 앉은 자세로, 전형적인 분노형 얼굴을 하고 있으며, 머리에는 용, 봉황, 꽃, 구름무늬로 장식된 관을 쓰고 갑옷을 입은 무인상입니다. 각기 오른발로는 악귀를 밟고 있고, 왼발은 악귀들이 받쳐 든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2004년 해체 보수 과정에서 1628년(인조 6)에 '중조(重造, 다시 조성함)'했다는 기록과 복장유물이 발견되었습니다. 복장유물은 전적류 12종 14책, 인본다라니 383장, 후령통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복장전적은 고려시대 교장(敎藏)의 성격을 밝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이 유물들 역시 2006년 4월 28일 보물 제146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은 대형임에도 불구하고 신체 각 부분의 비례가 조화롭고, 부피감과 함께 사실적인 기법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특히 서방 광목천왕상의 지물 중 보탑 대신 새끼 호랑이가 등장하는 등 새로운 도상을 보여주어 학술적 가치가 높습니다.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문화재 정보 | |
이름 |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
로마자 표기 | Suncheon Songgwangsa Sojosacheonwang-sang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1467 |
지정일 | 2006년 4월 28일 |
주소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송광사 |
수량 | 4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